채권이란? 채권의 종류와 특징

채권이 무엇일까요? 회사가 쓰는 일종의 차용증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차용증에 이자가 있듯 채권도 투자자에게 이자를 줍니다. 우량기업이면 이자가 낮고 비우량기업은 이자가 높습니다. 채권도 결국 기업의 펀더멘털을 봐야 휴지조각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채권의 정의 우리는 돈이 필요할 때 은행에 담보를 제공하고 돈을 빌립니다. 마땅한 담보가 없다면 가족, 친구, 동료들에게 돈을 빌리고 차용증을 씁니다. 우리가 돈이 필요할 때가 있듯이 회사에도 돈이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회사가 돈이 필요하면 어떻게 할까요? 많은 주주가 나타나길 바라며 주식을 많이 발행하면 될까요? 그러나 아무도…

돈에 대한 고민, 선택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돈을 어떻게 벌까, 어떻게 쓸까. 돈을 떠올릴 때 늘 생각하는 고민이다. 어떻게 결정하느냐에 따라 돈을 모을지, 빚을 질지 그 결과는 하늘과 땅차이다. 돈은 유한하고, 돈을 버는 방법도 많은 돈을 벌기 쉽지 않다. 결국 현명한 결정이 돈을 모을 수 있다는 것이다. 돈, 욕구에 비해 부족한 희소성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사람들이 살아가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 많다. 기본적인 의식주뿐 아니라 보 다 나은 삶을 위해 다양한 재화와 서비스가 필요하다. 하지만 이런 욕구를 충족시킬 재화와 서비스는 부족하다. 사람들의 욕구에 비해 자원이…

돈과 찰떡궁합인 시장은? 자본시장의 꽃 증권, 채권

돈과 궁합이 맞는 시장이 있습니다. 바로 자본시장입니다. 1년 이내 짧은 단기금융시장이 아니라 1년이 넘는 장기금융시장으로 안정적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에서 자금을 충당하는 주요 수단이 주식입니다. 자본시장에서 장기금융자산 거래 직접금융시장에는 금융자산의 만기(maturity)에 따라 은행예금처럼 1년 이내의 짧은 단기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자금시장(money market)과 1년 이상의 장기금융자산이 거래되는 자본시장(capital market)이 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자본시장은 주식이나 채권, 장기자금 대출 등을 통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시장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주식, 채권과 같은 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을 증권시장(securities market)이라고 합니다. 흔히 ‘자본주의의 꽃’ 이라…

돈은 어디서 빌리나

돈은 돌고 돕니다. 돈을 얻는 직접적 방법은 소득입니다. 그러나 경제생활을 하다 보면 소득보다 더 많이 지출하는 경우가 자주 생깁니다. 내집마련 등이 대표적입니다. 기업도 비슷합니다. 기업도 더 큰 매출을 위해 공장을 짓거나 사람을 뽑을 때 돈이 필요합니다. 돈, 가계, 기업, 금융시장 관계 경제활동의 출발선인 가계와 경제 발전의 원동력인 기업, 국가경제의 큰 그림을 그리는 정부가 얼마나 유기적으로 움직입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경제주체 중 기업은 저축보다는 투자를 많이 하여 돈이 필요한 반면에 가계는 소비도 하지만 저축도 많이 하므로, 금융은 주로 가계와…

기업과 정부 그리고 금융…돈은 움직인다

돈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가장 이해하기 쉬운 돈줄은 기업입니다. 기업이 직원에게 일에 대한 댓가로 급여를 줍니다. 직원에게 그 급여는 소득입니다. 그 급여로 소비를 해야 그 돈이 다시 기업으로 돌아갑니다. 기업, 이윤추구를 위한 조직   우리의 생활 전반은 기업의 생산품들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업은 ‘이윤을 얻기 위해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조직’입니다. 기업은 재화를 팔고 서비스를 제공해서 번 돈으로 직원들(가계)에게 임금을 지불하고 정부에 세금을 냅니다. 또한 이윤을 새로운 사업에 투자하고 새로운 분야로의 진출을 모색합니다. 기업의 이윤이 많다면 경제의…